누가 Huolicha와 결혼 했습니까?
Möngke Khan 결혼 한 Huolicha .
Huolicha

Möngke Khan

뭉케 카안(몽골어: ᠮᠣᠩᠺᠡ
ᠬᠠᠭᠠᠨ Möngke qa'an, 몽골 키릴 문자:Мөнх хаан, 키릴문자: Мунке хаан, Мункэ хаан, Менгу хаан, 蒙哥汗, 또는 몽케 카안, 1209년 1월 10일(음력 1208년 12월 3일) ~ 1259년 8월 11일(음력 7월 20일))은 몽골 제국의 제4대 칸(재위: 1251년 7월 1일 ~ 1259년 8월 11일)이다. 휘는 보르지긴 뭉케(몽골어: ᠪᠣᠷᠵᠢᠭᠢᠨ
ᠮᠣᠩᠺᠡ, 한국 한자: 孛兒只斤夢哥 패아지근몽가), 별칭은 멩케(蒙客), 망구(莽扣, Mangu), 망뢰구(莽賚扣)이다.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귀위크 칸의 사촌동생이기도 하고, 쿠빌라이 카안, 아리크 부케의 형이기도 하다. 묘호는 헌종(憲宗), 시호는 환숙황제(桓肅皇帝)이다.
어머니 소르칵타니 베키의 권고로 구유크 칸의 정적 킵차크 한국 바투와 연락하였다. 1249년 귀유크 칸이 죽자 대칸의 지위를 유지하려는 오고타이계 황족과 갈등, 이복동생 무가 주치 가문의 바투 등의 지원에 힘입어 대칸위에 올랐다. 즉위 후 1251년부터 고려 원정을 시작, 1253년 서방 원정군을 편성해 이라크 및 서남아시아, 시리아를 원정하여 2년 만에 정복했고, 1254년 대리국(현재의 윈난성)과 베트남을 공략, 대리국을 정복하였다. 1252년부터는 델리 술탄국과 티베트를 원정하였다.
그의 아버지는 톨루이이며 어머니는 소르칵타니로 그의 형제는 쿠빌라이, 아리크 부케, 훌라구 등이 있었다. 몽케는 4대 몽골 황제가 되었다. 몽케라는 뜻은 중세 몽골어로 영구(永久), 영원함(永遠)이라는 뜻이다. 몽케는 오고타이 이후 몽골 제국의 점령지와 식민지, 속국에 직접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었던 최후의 카안이었다.
더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