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이오시프 스탈린와 결혼 했습니까?

  • 에카테리나 스바니제 결혼 한 이오시프 스탈린 . 이오시프 스탈린 결혼식 날 27 세였다 (27 년 6개월 28일). 에카테리나 스바니제 결혼식 날 21 세였다 (21 년 3개월 2일). 나이 차이는 6 년 3개월 27일 이었다.

    결혼 생활은 1년 5개월 2일(520일)이었다. 결혼은 끝났다.

  • 나데즈다 알릴루예바 결혼 한 이오시프 스탈린 . 나이 차이는 22 년 9개월 4일 이었다.

    결혼은 끝났다. 원인: 당사자의 사망

이오시프 스탈린: 결혼 상태 타임라인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문화어: 이오씨프 위싸리오노위츠 쓰딸린,러시아어: Ио́сиф Виссарио́нович Ста́лин 듣기 , 조지아어: იოსებ სტალინი, 1878년 12월 18일 ~ 1953년 3월 5일)은 러시아의 정치가, 공산주의 혁명가, 노동운동가이자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 정치인, 작가, 시인, 언론인이다.

스탈린은 1923년 4월 30일부터 1924년 1월 21일까지 소비에트 연방 레닌 시대의 제2인자 겸 실권자였으며 1924년 4월 3일부터 1953년 3월 5일까지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 원수로 군림했다. 1941년 5월 6일부터 1945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총리를 지내고 그해 재선되었으며, 1941년 7월 19일부터 1947년 3월 3일까지 소련의 국방부 장관을 겸하였다. 1945년 6월 27일부터 1953년 3월 5일까지는 소련군 대원수였다.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조지아 출신으로, 본래는 정교회 성직자를 꿈꿔 신학교에 재학중이었으나 사회주의 혁명 사상에 감화되어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고 정치운동에 투신하였다. 이때 스탈린은 은행 강도, 납치, 방화 등을 통해서 블라디미르 레닌의 볼셰비키가 활동할 수 있는 자금을 조달하였고, 당 신문인 프라우다의 편집을 담당하기도 했다. 이후 여러차례 체포된 스탈린은 시베리아로 유배형을 당했으나 기적적으로 탈출해 성공하였고 1917년 10월 혁명을 통해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자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소련 건국 이후에 스탈린은 주요 볼셰비키 당원 가운데 한명이자 혁명의 참여자로서 높은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1924년 1월 24일, 소련의 국부였던 블라디미르 레닌이 사망하자 당내에서 권력 투쟁이 격화되었는데 스탈린도 여기에 참여한다. 스탈린은 우선 가장 위험한 정적이었던 레프 트로츠키를 니콜라이 부하린,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 등과 연합하여 제거하였으며, 이후에는 필요가 없어진 이들을 차례차례 권력에서 몰아내어 정쟁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에 따라 스탈린은 소련 공산당 서기장, 즉 소련의 국가 원수로서 군림하면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를 수 있게 되었다.

권력장악 이후의 스탈린은 트로츠키의 국제사회주의과는 반대되는 일국사회주의를 주장하면서, 제1차 5개년 계획을 진두지휘하고 중앙집권적 계획 경제 아래서 농업 집산화와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냈다. 하지만 그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아서 1930년대에는 우크라이나와 같은 곡창지대에서조차 식량 생산에 문제가 생겨 수백만 명이 사망하는 대기근이 일어나기도 했다.

대외적으로 스탈린은 마르크스주의를 장려함과 동시에 코민테른을 통한 해외 사회주의 운동과 유럽 내의 반파시즘 운동을 지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인 1939년에는 나치 독일과의 독소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독일이 1941년 침공하여 발발한 독소전쟁 초기에는 제대로 된 군사정책을 발휘하지 못하여 수도인 모스크바까지 위협받았으나, 모스크바 공방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를 계기로 전세를 역전시켜, 결국 나치 독일군의 항복과 함께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이 되었다.

전쟁 도중 핀란드와 루마니아로부터 영토를 할양받고 발트 지역을 합병한 스탈린은 중앙 및 동유럽에 위성국을 설립하여 국제적으로 소련의 영향력을 한층 더 강화시켰다. 전후처리 과정에서 소련과 미국은 세계적인 초강대국으로 부상했고 곧 냉전으로 알려진 긴장의 시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 시기에 스탈린은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국가의 재건사업에 힘을 기울임과 동시에 1949년에는 첫 소련 원자폭탄 실험을 주도함으로써 미국 다음으로 핵전력을 보유하는 데 성공했다.

말년으로 갈수록 편집증적인 성격이 점점 심해졌던 스탈린은 반유대주의를 신봉하고 자신들의 측근마저 잘 믿지 않게 되었다. 또한 그는 의사들이 자신을 암살할 것이라는, 이른바 '의사들의 음모'에 사로잡혀 주치의들을 숙청하거나 잘 만나려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이게 화가 되어 1953년 스탈린은 뇌졸중으로 쓰러져 사망하게 된다. 스탈린은 생전에 철저하게 우상화당했으나 그의 사후에 집권한 니키타 흐루쇼프는 1956년부터 스탈린을 비판하면서 이른바 '스탈린 격하 운동'을 시작했다.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명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이오시프 스탈린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시자이자 소련의 대표적인 인물이나 오늘날에 들어서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한쪽은 스탈린이 러시아 혁명과 소련 건국 당시의 사회주의 이념을 변질시켰을 뿐만 아니라 반대파들을 잔혹하게 숙청하고, 대량 학살과 인종 청소를 자행하며 무자비한 권력을 휘두른 독재자였다고 비판한다. 한편 다른 한쪽은 대공황의 어려움 속에서도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 성장을 이루어내어 추후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이자 초강대국으로 올라서게 될 발판을 마련한 위대한 지도자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1991년 소련 붕괴 이전에는 스탈린 격하 운동의 영향도 있고 하여 전자의 주장이 조금 더 우세를 점하였으나, 소련 붕괴 이후로는 러시아를 비롯한 구소련권 국가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혼란이 가중되면서 후자의 주장이 점점 더 힘을 얻고 있는 중이다(자세한 것은 스탈린의 평가 목록 참조).

집권 이전에는 '선생님'이라는 애칭이 있었으나, 집권기간 중 스탈린은 '국부', '세계 프롤레타리아의 빛', '인민의 친구',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시자', '위대한 이론가', '위대한 지도자이자 선생님'로 불렸으며,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공공연히 '러시아인의 아버지'로도 불렸다. 그의 수많은 가명 중 하나인 '스탈린'이라는 가명은 '강철의 사나이'를 뜻하며, 트빌리시 신학교 시절의 필명으로 쓰던 것이 굳어져서 본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스탈린의 출생명은 조지아어로 이오세브 베사리오니스 제 주가슈빌리(조지아어: იოსებ ბესარიონის ძე ჯუღაშვილი, 러시아어: Ио́сиф Виссарио́нович Джугашви́ли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주가시빌리[*])이며, 소소(조지아어: სოსო)는 그의 애칭이었다.

더 알아보기...
 
Wedding Rings

에카테리나 스바니제

에카테리나 스바니제

에카테리나(카토) 스비모니스 아술리 스바니제주가슈빌리(조지아어: ეკატერინა (კატო) სვიმონის ასული სვანიძე-ჯუღაშვილი, 러시아어: Екатери́на (Като́) Семёновна Свани́дзе 예카테리나(카토) 세묘노브나 스바니제[*], 1885년 4월 2일 ~ 1907년 12월 5일)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첫 번째 아내이다.

더 알아보기...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
 
Wedding Rings

나데즈다 알릴루예바

나데즈다 알릴루예바

Nadezhda Sergeyevna Alliluyeva (Russian: Надежда Сергеевна Аллилуева; 22 September [O.S. 9 September] 1901 – 9 November 1932) was the second wife of Joseph Stalin. She was born in Baku to a friend of Stalin, a fellow revolutionary, and was raised in Saint Petersburg. Having known Stalin from a young age, they married when she was 18, and had two children. Alliluyeva worked as a secretary for Bolshevik leaders, including Vladimir Lenin and Stalin, before enrolling at the Industrial Academy in Moscow to study synthetic fibres and become an engineer. She had health issues, which had an adverse impact on her relationship with Stalin. She also suspected he was unfaithful, which led to frequent arguments with him. On several occasions, Alliluyeva reportedly contemplated leaving Stalin, and after an argument, she fatally shot herself early in the morning of 9 November 1932.

더 알아보기...
 

이오시프 스탈린 및 그의 배우자의 아버지 :

이오시프 스탈린 및 배우자의 어머니 :